남들은 주식으로 돈좀 벌었다 하는데 왜 내가 사는 주식은 내리고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셨나요? 이번에 S&P500 에 자동투자를 설정하고 1주일이 넘었는데 평단가가 오르지 않고 내려 가고만 있는데 왜 내가 사면 내려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내려가 보려 합니다.
내가 자동투자 한시점이 고점일수도
내가 자동투자했을 시점이 고점일수도 있다 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이전 그래프를 살펴보면 S&P 500은 꾸준히 성장을 하고 있는걸 볼수 있습니다. 미국의 500개의 대기업들이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떨어지지 않을겁니다. 엄청나게 떨어진다면 미국경제가 위태위태 하다는 뜻이니까요.
큰돈이 아닌 소수점으로 투자를 하고 있는데 S&P500 성장주 ETF에 50,000원을 넣고 한동안 상승을 하길래 이왕 하는거 자동투자로 꾸준히 넣고 미래를 보자 하여 S&P500 ETF에 매일매일 5,000원씩 넣고 있습니다.
넣은 시점부터 현재까지 상승이 아닌 하락을 하고 있는데 오히려 하락을 하고 있을때 넣었으니 좀더 좋겠다 라는 생각도 들기도 합니다. 평단가가 오르려면 꾸준히 계속해서 넣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오히려 최대한 빠르게 넣는게 장기적으로 돈을 벌수 있다 라는 마음으로 자동투자를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제 조금씩 상승중
이제서야 조금씩 또 올라가고 있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이상태로 계속해서 올라가주면 또 수익이 플러스로 되겠죠? 워낙 1주당 가격도 높아서 소수점으로 꾸준하게 넣어주는게 더욱 도움이 될듯 싶습니다. 무조건 장기적으로 가야한다고 생각이 듭니다.워렌 버핏도 말했습니다.
내가 죽거든 재산의 90%는 S&P500 인덱스 펀드에 넣어라
일단 안정적인 시드머니 를 투자해두고 그다음에 다른 종목에 분산하여 투자하는것이 돈을 불리기 위해서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AI 분석글을 보니
주요 지수들이 예상을 웃도는 12월 PPI 자료 발표 이후 상승 했다고 합니다. 20일이 되면 또한번 상승할거라 예상이 됩니다. 트럼프 취임이후에 또한번 주식이 오를거라는 개인적인 생각을 한번 덧붙여서 20일 이후 상승을 할건지는 봐야 알겠지만 참 보면 재미도 있지만 뭐가 뭔지 예측하기 힘든게 주식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Tags:
경제